콘텐츠로 건너뛰기
Home » 캔들차트(봉차트)에 대해 알아보자

캔들차트(봉차트)에 대해 알아보자

  • by

차트란?

차트란 투자의 대상이 되는 것의 가격의 흐름을 기록해낸 일종의 기록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차트 분석을 하는 이유는 과거의 흐름을 통하여 미래의 주가의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함이며, 더 나아가 미래를 예측하기 위함입니다.

주가의 등락은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등의 요인이 있을 수 있지만, 결국에는 시장 참여자들의 행동의 결과로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차트를 분석한다는 것은 시장 참여자들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는 것과도 같습니다.

본격적으로 차트 분석에 입문하기 위하여 차트는 어떻게 생겼고, 어떤 요소들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캔들차트

차트를 표현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여러 방법 중에서 가장 많이, 널리 사용되는 차트의 작성은 바로 캔들차트라고 불리는 차트입니다.

캔들차트란 봉차트라고도 불리는데, 가격의 등락을 나타내는 단위가 촛대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하루를 기준으로, 하루 동안 주가가 상승했으면 붉은색으로, 주가가 하락했으면 푸른색으로 표현합니다.

하지만 이는 동양에서 사용하는 색이고, 서양에서는 반대로 주가 하락을 붉은색, 주가 상승을 푸른색으로 표현합니다.

캔들차트의 구성1

동양의 음양 개념을 사용하여 해당 기간 동안의 상승 캔들을 양봉, 하락 캔들을 음봉이라고 부릅니다.

각 캔들은 특정 시간에 생성되기 시작하며 일정 기간이 지나면 완성되게 됩니다.

이 설정은 사용자가 보고 싶은 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캔들 하나 당 1분, 1시간, 1일, 1주, 1개월 등으로 설정 가능합니다.

이를 차례로 1분봉, 1시간봉, 일봉, 주봉, 월봉 등으로 부릅니다.

예를 들어, 주식 시장의 경우 캔들 차트를 일봉으로 설정했다면, 거래가 시작되는 오전 9시에 캔들 하나가 생성되기 시작하여 거래가 마감되는 오후 3시 30분에 캔들이 완성되게 됩니다.

캔들차트의 구성2

캔들이 생성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처음 거래된 가격을 시가라고 합니다.

캔들이 생성되어 완성되기 전까지 가장 높게 거래된 가격을 고가라고 합니다.

캔들이 생성되어 완성되기 전까지 가장 낮게 거래된 가격을 저가라고 합니다.

캔들이 완성되기 전에 마지막으로 거래된 가격을 종가라고 합니다.

즉, 캔들의 색은 시가와 종가의 크기 비교를 통해 결정되게 됩니다.

시가보다 종가가 더 크면 양봉, 시가가 종가보다 낮으면 음봉이 되는 것입니다.

캔들의 종류

특정 모양을 갖는 캔들은 수 없이 생겨나는 일반적인 캔들보다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한 캔들의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일봉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장대양봉과 장대음봉

장대양봉과 장대음봉

장대양봉은 하루 동안 매수세가 매도세를 압도한 경우에 출현하는 캔들입니다.

장대양봉은 시가가 곧 저가이고, 종가가 곧 고가인 경우를 말합니다.

이러한 경우는 꼬리가 없는 완전한 형태의 장대양봉입니다.

장대양봉의 출현은 오늘 생겨난 매도세를 매수세가 모두 해소시킨 것으로 내일 혹은 가까운 미래까지 매수세가 계속하여 이어질 확률이 높습니다.

장대음봉은 반대로 하루 동안 매도세가 매수세를 압도한 경우에 출현하는 캔들입니다.

장대음봉은 시가가 곧 고가이고, 종가가 곧 시가인 경우를 말합니다.

이러한 경우는 꼬리가 없는 완전한 형태의 장대음봉입니다.

장대음봉의 출현은 오늘 생겨난 매수세를 매도세가 모두 해소시킨 것으로 내일 혹은 가까운 미래까지 매도세가 계속 하여 이어질 확률이 높습니다.

망치형과 역망치형

망치형과 역망치형

망치형 캔들은 캔들의 모양이 망치의 형태를 닮아 붙여진 이름입니다.

아랫꼬리가 몸통보다 비교적 긴 것이 특징이며 윗꼬리는 없습니다.

망치형 캔들은 시가와 저가의 거리가 멀고, 종가는 곧 고가인 경우에 출현합니다.

망치형 캔들이 출현했다는 것은 강력한 매도세가 출현했지만 더욱더 강력한 매수세가 출현하여 시장의 힘이 반전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계속된 하락 추세 속에 출현한 망치형 캔들은 하락 추세의 소진을 의미합니다.

역망치형 캔들은 망치형 캔들을 뒤집어 높은 형태입니다.

즉, 역망치형 캔들은 시가와 고가의 거리가 멀고, 종가는 곧 저가인 경우에 출현합니다.

역망치형 캔들이 출현했다는 것은 강력한 매수세가 출현했지만 더욱 더 강력한 매도세가 출현하여 시장의 힘이 반전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계속된 상승 추세 속에 출현한 역망치형 캔들은 상승 추세의 소진을 의미합니다.

도지형 캔들

도지형 캔들

도지형 캔들은 매수세와 매도세의 힘의 균형을 나타내는 캔들의 유형입니다.

따라서 시가와 종가가 비슷한 수준으로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상승 추세 혹은 하락 추세 중에 도지형 캔들이 출현했다는 것은 비로소 매수세와 매도세가 균형을 이루었다는 것으로 이전 추세가 소진되어 감을 의미합니다.

도지형은 십자도지형과 일자도지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십자도지형과 일자도지형의 유일한 차이점은 꼬리의 유무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