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Home » 이동평균선 활용 가이드 기본편

이동평균선 활용 가이드 기본편

  • by

이동평균선이란?

이동평균선은 최근 며칠 동안의 종가의 평균을 나타낸 선을 의미합니다. 이동평균선 설정에 따라 최근 5일, 20일, 60일, 120일 등의 평균선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수치들은 사용자의 매매 스타일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경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금일에 표시된 5일 이동평균선은 금일을 기준으로 과거 5일 동안의 종가의 평균인 것이고, 전일에 표시된 5일 이동평균선은 전일을 기준으로 과거 5일 동안의 종가의 평균인 것입니다. 이렇게 하루의 시장이 마감될 때 마다 평균을 구하는 범위가 최근 것으로 갱신된다는 것이 이동평균선의 개념입니다.

이동평균선은 영어로 Moving Average라고 합니다. 이를 간단히 MA로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동평균선은 일간 차트에서 많이 활용하는 편입니다. 매매 기간을 짧게 가져가는 트레이더의 경우 시간 차트나 분간 차트에서도 활용 가능합니다. 매매 기간을 길게 가져가는 트레이더의 경우 주간 차트나 월간 차트 등에서도 활용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1분봉에서 5MA는 과거 5분 동안 나타난 5개의 분봉의 종가의 평균이 되며, 주간 차트에서 5MA는 과거 5주일 동안 나타난 5개의 주봉의 종가의 평균이 되는 것입니다.

이동평균선 모습

이동평균선 종류

이동평균선은 평균을 구하는 범위에 따라 종류가 구분됩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이동평균선은 5일, 20일, 60일, 120일 이동평균선입니다. 이 수치들은 기술적 분석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주식 시장을 기준으로 참고하는 이동평균선입니다. 주식 시장은 공휴일에는 개장하지 않기 때문에, 주식 시장에서 5일이란 일주일을 의미하며, 20일은 한 달을, 60일은 한 분기를, 120일은 반 년을 의미합니다.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이 수치들은 본인의 매매 스타일에 맞게 설정 가능한 수치입니다. 하지만, 위 수치들은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참고하는 수치이기 때문에 아직 본인만의 매매 스타일을 갖추지 못한 투자자의 경우 위 수치들을 그대로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또한 이동평균선은 평균을 구할 때의 가중치에 따라 단순이동평균선, 지수이동평균선, 가중이동평균선의 세 종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단순이동평균의 경우 평균을 구하는 범위의 모든 종가가 동일한 가중치를 가지고 계산되지만, 지수이동평균이나 가중이동평균의 경우 평균을 구하는 범위에서 최근 종가에 더 많은 가중치를 두고 평균을 구하게 됩니다. 단순이동평균선은 영어로 Simple Moving Average이고 간단히 MA 혹은 SMA로 통용됩니다. 지수이동평균선은 영어로 Exponential Moving Average이고 간단히 EMA로 표시하며 가중이동평균선은 영어로 Weighted Moving Average이고 간단히 WMA로 표시합니다.

지수이동평균선과 가중이동평균선은 최근 데이터에 더 많은 가중치를 두고 평균이 계산되기 때문에 단순이동평균선에 비해 최근 추세를 더 잘 표현한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지수이동평균선, 가중이동평균선과 관련된 내용은 추후로 미루도록 하고 이 포스트에서는 단순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내용을 적도록 하겠습니다. 실제로 단순이동평균선만 알아도 이동평균선의 원리 혹은 이동평균선 매매기법을 익히는데는 충분하며, 지수이동평균선과 가중이동평균선은 단순이동평균선에 비해 널리 사용되는 이동평균선은 아닙니다.

이동평균선 역할

이동평균선은 일반적으로 지지와 저항의 역할을 합니다. 왜 그런지를 20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평균이 갖는 의미를 생각해 볼 때,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 아래에 형성된다는 것은 20일 동안 매수에 임했던 사람들이 현재 손실을 보고 있다는 뜻이 됩니다. 따라서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 근처까지 회복하게 되면 손실을 보고 있던 사람들이 본전을 찾고자 하는 매도세가 생기는 것은 당연한 이치가 되겠죠. 따라서 주가는 저항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반대로, 주가가 상승하여 20일 이동평균선 위에 형성된다는 것은 20일 동안 매수에 임했던 사람들이 현재 수익을 보고 있다는 뜻이 됩니다. 이 때 주가가 다시 20일 이동평균선 근처까지 하락하게 된다면 수익을 보고 있던 사람들이 수익 실현을 하려는 힘 보다는 저점 매수에 대한 희망으로 신규 매수세의 힘이 더 클 확률이 높습니다. 10% 수익을 보고 있다가 주가가 떨어져서 3% 수익을 보게 되었을 때 쉽사리 매도하지 못했던 경험은 아마 다들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이 때 주가는 지지를 받게 되는 것입니다.

이동평균선 역할

이동평균선이 지지와 저항의 역할을 하는 강도는 이동평균선에서 평균의 범위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평균을 구하는 범위가 길면 길수록 지지와 저항의 강도 및 신뢰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즉, 5일 이동평균선 보다는 20일 이동평균선이, 20일 이동평균선 보다는 60일 이동평균선이, 60일 이동평균선 보다는 120일 이동평균선이 지지와 저항의 강도가 강하며 실제로 지지와 저항이 일어날 확률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동평균선 매매기법

이동평균선의 매매기법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널리 알려져 있는 방법은 크로스 분석입니다. 크로스 분석은 두 개 이상의 이동평균선을 활용하여 이동평균선끼리 교차하는 순간에 의미를 두는 매매기법입니다. 예를 들어, 20일 이동평균선과 60일 이동평균선을 함께 활용하여 이 두 이동평균선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을 매매 신호로 포착할 수 있습니다. 단기선이 장기선을 상향 돌파 할 때를 골든 크로스라고 부르며 이는 일반적으로 매수 신호입니다. 반대로, 단기선이 장기선을 하향 돌파 할 때를 데드 크로스라고 부르며 이는 일반적으로 매도 신호입니다.

여기서 단기선, 장기선의 구분은 두 개 이상의 이동평균선 중 평균을 구하는 범위가 더 짧은 선을 단기선, 평균을 구하는 범위가 더 긴 선을 장기선이라고 부릅니다. 즉, 20일 이동평균선과 60일 이동평균선의 경우 20일 이동평균선이 단기선이 되고, 60일 이동평균선이 장기선이 되는 것입니다.

골든 크로스와 데드 크로스를 활용한 매매 기법은 굉장히 직관적이고 단순합니다. 단기선이 장기선을 상향 돌파할 때 매수, 단기선이 장기선을 하향 돌파할 때 매도만 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이동평균선 매매기법은 이렇게 단순하지만 꽤 높은 신뢰도를 갖고 있는 매매 신호입니다.

이동평균선 매매기법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