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Home » 이동평균선의 역할

이동평균선의 역할

  • by

이동평균선의 역할

이동평균선의 역할 : 이동평균선은 일반적으로 지지와 저항의 역할을 하며 단기, 중기, 장기 추세의 확인에 용이합니다.


일반적으로 설정하는 이동평균선의 기간은 5일, 20일, 60일, 120일입니다.

이 수치들은 주식 시장을 기준으로 정해진 것입니다.

주식 시장은 휴일에 개장하지 않기 때문에 5일은 일주일을, 20일은 한 달을, 60일은 분기를, 120일은 반기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이동평균선 설정 기간은 사용자의 매매 스타일에 맞게 변경하여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가령, 암호화폐 시장의 경우 7일, 30일, 90일, 180일 등으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5일, 20일, 60일, 120일 이동평균선을 사용하므로 이 수치들을 그대로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아래 페이지는 이동평균선에 대한 기초적인 선행 지식입니다. 이동평균선의 뜻, 이동평균선의 의미와 해석, 이동평균선의 설정 방법 등에 대한 내용이므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이동평균선 이란?>

5일 이동평균선의 역할

5일 이동평균선은 최근 5일 동안의 평균 매매 가격으로 단기 매매선으로 불립니다.

5일선은 과거 5개 봉의 종가를 대표하므로 비교적 주가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따라서 차트에 5일 이동평균선을 추가하게 되면 차트의 전체적인 흐름이 그대로 반영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5일선의 기울기는 대부분 현재의 추세를 그대로 반영합니다.

즉, 5일선은 기울기를 통해 단기 추세 파악에 활용됩니다.

5일 이동평균선의 역할
5일 이동평균선 (삼성전자 일간차트)

20일 이동평균선의 역할

20일 이동평균선은 최근 20일 동안의 평균 매매 가격으로 중기 매매선으로 불립니다.

20일선은 특히 일간 차트에서 영향력이 매우 높은 편에 속합니다.

상승 추세에서 주요 지지선의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만일, 상승 추세에서 20일선이 지지에 실패한다면 중기적인 관점에서 상승 추세는 끝났다고 해석합니다.

이것이 20일선을 생명선으로도 부르는 이유입니다.

20일선은 기울기를 통해 중단기 추세를 파악하는데 활용됩니다.

20일 이동평균선의 역할
20일 이동평균선 (삼성전자 일간차트)

60일 이동평균선의 역할

60일 이동평균선은 최근 60일 동안의 평균 매매 가격으로 중기 추세선으로 불립니다.

마찬가지로 60일선은 기울기를 통해 중기 추세를 파악하는데 활용됩니다.

차트가 위에서부터 주가, 5일선, 20일선, 60일선 순서 대로 위치해 있는 상황을 차트의 정배열 상태라고 부릅니다.

특히, 60일선은 이러한 정배열 상태에서의 주요 지지선의 역할을 합니다.

5일선과 20일선은 “매매선”으로 불리지만, 60일선은 “추세선”으로 불리는 이유가 있습니다.

주가가 60일선을 돌파하여 상승한다면 중기 추세가 상승 추세로 전환되었다고 볼 수 있기 떄문입니다.

반대로 주가가 60일선 아래로 하락한다면 중기 추세가 하락 추세로 전환되었다고 해석합니다.

60일 이동평균선의 역할
60일 이동평균선 (삼성전자 일간차트)

120일 이동평균선의 역할

120일 이동평균선은 최근 120일 동안의 평균 매매 가격으로 장기 추세선으로 불립니다.

마찬가지로 120일선은 기울기를 통해 장기 추세를 파악하는데 활용됩니다.

120일선은 경기선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은 경기보다 6개월 선행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120일 이동평균선의 역
120일 이동평균선 (삼성전자 일간차트)

이동평균선이 지지와 저항의 역할을 하는 이유

이동평균선은 기본적으로 지지와 저항의 역할을 합니다.

그 이유는 이동평균선이 해당 기간 동안 평균 매매 단가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20일 이동평균선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겠습니다.

주가 아래의 이동평균선은 지지선

주가가 20일선 위에 있다는 것은 최근 20일 동안의 평균 매매 단가보다 현 주가가 높다는 것입니다.

즉, 최근 20일 동안 매수에 임했던 사람들은 현재 수익을 보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만일 여러분이 수익을 보고 있던 주식이 +10%에서 +3%까지 떨어졌을 때 어떻게 대응하시나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주식을 쉽게 팔지 못합니다.

어차피 아직 수익 구간이기도 하고, 과거의 영광을 쉽게 잊지 못하기 떄문입니다.

즉, 주가가 20일선 위에 있다가 20일선 근처까지 하락하게 되면 수익을 보고 있던 사람들은 쉽사리 매도하지 못합니다.

이는 20일선 위에서는 최근 20일 동안 매수에 임했던 사람들이 쉽게 매도 세력으로 그 입장을 바꾸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는 매도세보다는 매수세가 클 확률이 높게 되는 것입니다.

이동평균선이 지지선의 역할을 하는 모습
20일 이동평균선이 지지선의 역할을 하는 모습 (삼성전자 일간차트)

주가 위의 이동평균선은 저항선

주가가 20일선 아래에 있다는 것은 최근 20일 동안의 평균 매매 단가보다 현 주가가 낮다는 것입니다.

즉, 최근 20일 동안 매수에 임했던 사람들은 현재 손실을 보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만일 여러분이 손실을 보고 있던 주식이 -10%에서 -3%까지 상승했을 때 어떻게 대응하시나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주식에 대한 추가 매수를 하지 못합니다.

-10%의 공포를 이미 경험했기 때문에 주가가 상승하여 -3%의 손실 상황에 놓이게 되면 본전을 찾고자하는 심리가 강하게 작용합니다.

이는 20일선 아래에서 주가가 20일선 근처까지 상승하게 되면, 본전을 찾고자하는 매도세가 강해질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이 구간에서는 매수세보다는 매도세가 클 확률이 높게 되는 것입니다.

이동평균선이 저항선의 역할을 하는 모습
20일 이동평균선이 저항선의 역할을 하는 모습 (삼성전자 일간차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