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Home » 볼린저밴드

볼린저밴드

  • by

볼린저밴드는 증권 분석가인 페리 카우프맨들(Perry Kaufmandl)이 처음 소개한 후 존 벌린저(John Bollinger)가 발전시킨 추세 지표의 일종으로, 추세 분석과 가격 변동성 분석을 동시에 가능하게 해주는 아주 유용한 지표입니다. 볼린저밴드는 통계학의 산포도 중 하나인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가격 변동성을 측정하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따라서 볼린저밴드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표준편차에 대한 최소한의 지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지표를 학습하기 위해서 표준편차에 대한 내용을 언급하긴 하겠으나, 이에 대한 추가적인 내용은 지표의 활용에 불필요하므로 간단히 하도록 하겠습니다.

표준편차란?

통계학에서 많은 자료를 하나의 값으로 대표할 수 있는 대푯값으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평균입니다. 이는 기술적 분석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개념입니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이동평균선에서도 평균의 개념은 뼈를 이루고 있습니다. 표준편차란, 많은 자료들이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많이 퍼져 있는지를 나타내주는 값입니다. 표준편차가 클수록 자료들은 평균으로부터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평균과 가깝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다음은 표준편차를 구하는 수식입니다. 볼린저밴드를 활용하기 위해 아래의 수식을 알 필요는 없으며, 참고 사항으로 첨부합니다.

표준편차 구하는 방법
표준편차 공식

볼린저밴드란?

볼린저밴드는 차트 위에 밴드(영역)형태로 나타나며 이 영역은 3개의 선으로 구분됩니다. 밴드의 중앙에 있는 것은 중심선이라고 부르며 이는 흔히 알고 있는 20일 이동평균선입니다. 밴드의 위와 아래에 나타나는 선은 각각 상한선과 하한선이라고 부르며 이 선들에 의해 생겨난 영역을 볼린저밴드라고 부릅니다.

볼린저밴드 표현
볼린저밴드란? (삼성전자 일봉차트)

볼린저밴드의 상한선과 하한선은 제 멋대로 생긴것 같아도, 자세히 보면 중심선으로부터 같은 거리 만큼 떨어져 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상한선과 하한선은 중심선으로부터 [2×표준편차]만큼 떨어져 있습니다. 볼린저밴드의 중심선이 20일 이동평균선이므로 중심선이 나타내는 값은 최근 20일 동안 종가의 평균입니다. 즉, 20개의 평균이 있고 그 20개의 종가들이 이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넓게 분포되어 있는지는 그 표준편차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구해진 표준편차의 두 배가 바로 중심선과 상한선 또는 하한선까지의 거리가 되는 것입니다.

볼린저밴드 의미
중심선과 상한선 또는 하한선 사이의 거리 (볼린저밴드)

볼린저밴드의 올바른 해석

표준편차가 자료들이 평균으로부터 분포되어 있는 정도라는 것을 생각해보세요. 주가의 변동성이 커지면 표준편차가 커지는 것이고 따라서 볼린저밴드의 폭이 넓어지게 됩니다. 반대로 주가의 변동성이 작으면 표준편차가 작아지는 것이고 따라서 볼린저밴드의 폭은 좁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주가가 추세를 형성하게 되면 변동성이 커지기 때문에 볼린저밴드의 폭 또한 넓어지게 됩니다. 한편 주가가 횡보할 경우 상대적으로 주가의 변동성은 작아지므로 볼린저밴드의 폭 또한 좁아지게 됩니다. 볼린저밴드의 활용에서 가장 흔한 오해는 볼린저밴드 상한선에서 매도, 하한선에서 매수하는 것입니다. 이는 때때로 수익을 가져다 줄 수도 있지만, 이 지표를 완성한 존 볼린저가 강조한 것은 주가가 변동성 밴드의 고점에 있을 때 과열을 염려해야 하고, 변동성 밴드 저점에 있을 때 과매도를 참고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볼린저밴드의 활용

많은 투자자들이 단기간에 급등한 소위 급등주를 넋 놓고 바라보며, 단기 상승할 주식을 미리 발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합니다. 볼린저밴드만큼 급등주를 사전에 잘 포착해주는 보조지표는 없다는 것을 대부분의 기술적 분석가들은 인정할 것입니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한지 다음의 볼린저밴드 투자 전략을 차례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초과 매수, 초과 매도 매매방법

주가가 볼린저밴드의 상한선에 도달하게 되면 과매수로 판단하며, 주가가 볼린저밴드 하한선에 도달하게 되면 과매도로 판단합니다. 즉, 주가가 볼린저밴드의 상한선 부근에 도달하게 되면 매도 포지션을, 하한선 부근에 도달하게 되면 매수 포지션을 취하는 매매 방법입니다.

볼린저밴드의 매매 포지션
볼린저밴드 과매도, 과매수 매매기법 (삼성전자 일봉차트)

지지와 저항 분석

주가가 볼린저밴드의 중심선(20일 이동평균선) 위에 있는 경우 상승 추세로 인식합니다. 이 때, 볼린저밴드의 상한선은 저항선의 역할을 합니다. 반대로 주가가 볼린저밴드의 중심선 아래에 있는 경우는 하락 추세로 인식합니다. 이 때, 볼린저밴드의 하한선은 지지선의 역할을 합니다.

볼린저밴드 저항선
상승 추세에서 상한선은 저항선 역할 (삼성전자 일봉차트)

가격 변동폭을 고려한 매매

볼린저밴드에서 가격 변동폭을 고려한 매매 신호는 밴드의 폭이 비교적 좁을 때 발생합니다. 볼린저밴드의 폭이 좁다는 것은 최근 20일(한 달) 동안 주가 변동성이 비교적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술적 분석의 뼈대인 다우 이론을 요약하면, 추세의 부재는 새로운 추세의 시작이라는 것입니다. 즉, 볼린저밴드의 폭이 좁으면 좁을수록 새로운 추세의 시작이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이는 박스 이론에서 박스권이 길 수록 큰 시세를 가져온다는 것과 일맥상통한 말이 됩니다. 즉, 볼린저밴드의 폭이 좁은 가격대를 형성한 후, 주가가 상한선을 뚫고 상승할 때는 이에 근거한 매수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좁은 밴드폭을 형성한 후, 주가가 하한선을 뚫고 하락할 때는 매도 신호가 됩니다. 위에서 언급한 급등주를 찾는 가장 쉬운 방법이 바로 이것입니다. 볼린저밴드의 폭이 좁은 종목을 주시해보세요.

볼린저밴드 매매기법

볼린저밴드를 매매에 활용하기 위해서 가장 처음 해야할 일은 볼린저밴드의 폭을 주목하는 것입니다. 볼린저밴드의 폭이 넓은 상태라면 최근 주가 변동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이미 추세가 형성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므로 추세 순응 전략을 통해 시장에 대응해야 합니다.

따라서, 주가가 중심선 위에 있는 경우 중심선을 최단 지지선, 상한선을 최고 저항선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주가가 중심선 아래에 있는 경우 중심선을 최고 저항선, 하한선을 최단 지지선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최단 지지선의 지지가 뚫릴 경우는 반드시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볼린저밴드의 폭이 좁을 상황이라면 주가가 상한선 혹은 하한선 부근에 접근할 때 까지 기다리는 것이 현명합니다. 급등주에 욕심을 부리다가는 반대로 급락주에 미리 탑승해버리는 암울한 결과가 따를 수 있습니다. 볼린저밴드의 폭이 좁은 상황에서 주가가 밴드의 상한선을 돌파하는 시점은 적극 매수 시점, 주가가 밴드의 하한선을 이탈하는 시점은 적극 매도 시점이 됩니다.

만일, 주가가 밴드의 상한선을 돌파하여 이 시점에 매수로 대응 했으나 가까운 미래에 주가가 다시 밴드 안으로 재진입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매도 신호를 나타냅니다. 반대로 주가가 밴드의 하한선을 이탈하여 이 시점에 매도로 대응 했으나 가까운 미래에 주가가 다시 밴드 안으로 재진입하는 경우는 매수 신호를 나타냅니다.

볼린저밴드 매매 기법
볼린저밴드 매매 신호 (케어젠)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